Cursor란 SQL문장을 처리한 결과를 가지고 있는 메모리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터이다. 암시적커서와 명시적커서로 구분된다. 암시적커서 오라클에서 실행되는 모든 SQL문장은 암시적커서가 생성된다. (자동으로 생성) 암시적커서 속성 SQL%FOUND : 해당 SQL문에 의해 반환된 행의 수가 1개 이상이면 TRUE SQL%NOTFOUND : 해당 SQL문에 의해 반환된 행의 수가 없을 경우 TRUE SQL%ISOPEN : 커서가 OPEN 되어 있는지 여부인데, 암시적커서는 FALSE이다. 암시적 커서는 자동으로 OPEN ~ Close 된다. SQL%ROWCOUNT : SQL문에 의해 반환된 총 행수 or 영향을 받은 행의 개수(UPDATE, INSERT, DELETE) 명시적커서 사용자가 직접 정의해서 사..
이번에 쓸 내용은 PL/SQL 에서 사용하는 TYPE 변수명 TABLE OF RECORD 형식에 대한 내용이다. 사용방법 ●%ROWTYPE 으로 정의 (미리 정의된 테이블의 레이아웃을 사용) ●RECORD 정의 (사용자가 레코드를 정의) ●TABLE OF DataType 정의 (VARRAY방식) 나는 위의 세가지 방법으로 많이 사용한다. %ROWTYPE 1 TYPE TEMP_TABLE_OF_REC IS TABLE OF EMP%ROWTYPE INDEX BY BINARY_INTEGER; cs EMP테이블의 컬럼타입을 전부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다. INDEX BY BINARY_INTEGER 는 RECORD의 인덱스를 자동으로 부여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즉 위의 선언한 TEMP_TABLE_OF_REC 레코드..
현재 진행하는 프로젝트중 PDF를 JSON형식으로 전송해야 하는 케이스가 있었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이 Base64 알고리즘을 사용해 PDF => Binary Data로 변환하면 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Base64란 Base64는 서로 다른 저장 매체간에 전송하는 동안 데이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를 일반텍스트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이진-텍스트 알고리즘이다. 또한 이진데이터를 HTML, CSS, JavaScript, XML과 같은 텍스트 문서에 삽입하는데 자주 사용된다. Base64는 모든 문자를 라틴문자, 숫자, 더하기 및 슬래시로 구성된 알파벳으로 변환 할 수 있는 인코딩 알고리즘이다. 덕분에 한자, 이모티콘, 이미지까지 읽을 수 있는 문자열로 변화할 수 있으며 ..
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컬러스크립터이다. 코드펜과는 다르게 작성한 코드만 볼 수 있는 IDE라기보다는 이쁜 NotePad정도?이다. 주로 결과화면을 보여주지 않아도되는 코드를 블로그에 첨부할때 많이 사용하고있다. 사이트 접속 https://colorscripter.com/ 컬러스크립트 사이트로 접속한다. 컬러스크립트 default 화면이다. 스타일 패키지에서 DashBoard의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다. 눈의 보호를 위해 또는 명확한 영역 구분을 위해 “서브라임 블랙” 스타일을 주로 사용하고있다. 언어에서 DashBoard에 작성할 코드의 언어를선택 할 수 있다. 컬러스크립트 티스토리 적용 작성한 코드를 티스토리에 적용시키는 방법은 우측하단의 HTML로 복사를 클릭하면 작성한 코드가 HTML로 추출이 된다..
코드펜은 사용자가만든 HTML, CSS, JavaScript 조각 코드를 테스트하는 인터넷IDE이다. 설정하기에 따라 여러 라이브러리 &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고, 나는 주로 블로그에 코드를 삽입할 때 사용한다. 인터넷에 코드펜을 검색해서 사이트에 접속한다. https://codepen.io/your-work 회원가입한다. 계정이 없다면 회원가입을 하고, 있다면 로그인을 한다.. 코드 작성하기 Create의 Pen 확장버튼을 눌러보면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Dash Board리스트가나온다. 1) Pen HTML, CSS, JavaScript를 입력할수 있는 기본화면 열린다. 2) Vue 위에서 설명했다시피 Vu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화면도 열수있고 각 탭에 맞는 코드를 입력하면 바로반영되어 확인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