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C

반응형
ETC/마크업

마크다운(markdown) 작성법

안녕하세요 인터럽트입니다.오늘은 git에서 Readme 작성할 때 많이 사용하는 마크다운에 대해서 정리해 볼 예정입니다.그럼 우선 마크다운이 뭔지 개념부터 알아볼까요?1. 마크다운(markdown)이란?Markdown은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언어로 2004년 존그루버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쉽게 쓰고 읽을 수 있으며 HTML로 변환이 가능합니다.특수기호와 문자를 이용한 매우 간단한 구조의 문법을 사용하여 웹에서 빠르게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마크다운이 최근 각광받기 시작한 이유는 깃헙(GitHub)에서 저장소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README.md를 마크다운으로 작성하고부터입니다.2. 마크다운의 장-단점2.1 장점심플함 : 복잡한 HTML 태그 없이 간단한 기호로 문서 구조화가 가능하다.가독성 : 코..

ETC/기타

빌드와 컴파일 : 프로그램 개발의 핵심 단계 비교하기

안녕하세요 인터럽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말 기본이지만 헷갈리는 개념인 빌드와 컴파일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실 제가 헷갈려서 알아봤는데, 저와 같은 사람들이 더 있을 거라 판단해서 같이 공유 하려고 해요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빌드(Bulid)와 컴파일(Compile)은 핵심 단계로, 소프트웨어를 구축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빌드(Build) 빌드(Build)의 개념 빌드는 소스 코드파일을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또는 모듈 등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빌드는 컴파일을 포함하여 여러 작업을 수행하며,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최종 실행 파일로 만들어줍니다. 빌드의 주요 단계 컴파일(Compile) : 소스 코드를 기계어나 중간 ..

ETC/기타

[컨벤션]프로그래밍 표기법-네이밍컨벤션, 코드가독성을 높여보자

안녕하세요 인터럽트입니다. 이번포스팅에서는 여러 개발자들과 협업으로 개발을 하면서 가장 필수적이고 가장 기본적인 컨벤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컨벤션 중에서도 이번에는 변수나 함수, 클래스등의 이름을 짓는 네이밍컨벤션을 집중적으로 다뤄보려고 합니다. 컨벤션이란 코딩 컨벤션이란 소스코드를 작성하는 데 있어서 암묵적인 규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강제성은 없지만 모두가 규칙에 맞춰서 작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죠, 왜 그럴까요? 사실 컴파일러는 우리가 얼마나 들여쓰기를 하든, 어떤 네이밍 규칙을 쓰든 상관이 없습니다. 문법만 잘 사용하고 오류만 안 나면 문제가 없지요. 하지만 해당 코드를 보는 사람의 관점에서 규칙이 없이 작성된 코드를 볼 때 가독성이 안 좋습니다. 어? 나는 1인 개발자인데 혹은 나는 학생이 ..

ETC/기타

미들웨어(MiddleWare) : 소프트웨어 세계의 중재자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개발자 인터럽트입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에서는 분산시스템구조로 각각의 모듈을 따로 관리하고, 모듈 간 혹은 화면과 서버단의 통신과, 데이터전송을 미들웨어를 통해 하고있습니다. 미들웨어가 뭔지 모르지만 사용법만을 습득하여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곤 했는데요, 미들웨어에 대해 좀 더 깊숙하게 파악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들웨어가 뭔지,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미들웨어(MiddleWare)란 무엇인가? 미들웨어는 '중간에 위치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애플리케이션과 운영체제 사이에서 동작하며,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신과 데이터 교환을 관리합니다. 미들웨어는 종종 '소프트웨어의 접착제' 혹은 '소프트웨어의 중재자'라고 불리..

ETC/기타

Base64

현재 진행하는 프로젝트중 PDF를 JSON형식으로 전송해야 하는 케이스가 있었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이 Base64 알고리즘을 사용해 PDF => Binary Data로 변환하면 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Base64란 Base64는 서로 다른 저장 매체간에 전송하는 동안 데이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를 일반텍스트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이진-텍스트 알고리즘이다. 또한 이진데이터를 HTML, CSS, JavaScript, XML과 같은 텍스트 문서에 삽입하는데 자주 사용된다. Base64는 모든 문자를 라틴문자, 숫자, 더하기 및 슬래시로 구성된 알파벳으로 변환 할 수 있는 인코딩 알고리즘이다. 덕분에 한자, 이모티콘, 이미지까지 읽을 수 있는 문자열로 변화할 수 있으며 ..

ETC/자료구조

스택 & 큐

1. 스택(Stack) 스택은 컴퓨터의 자료구조의 한 가지로 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후입선출(LIFO – Last In First Out)로 되어있다. PUSH는 자료를 밀어 넣는 것을 의미하고 자료를 꺼내는 것을 POP이라고 한다. 스택은 PUSH할 때 과거 데이터 위에 최신 데이터가 쌓이고, POP할때는 최신 데이터부터 나오게 된다. 이런 구조를 LIFO 구조라고 한다. 컴퓨터의 ctrl + z (이전상태 되돌리기)가 대표적인 예이다. 2. 큐(Queue) 1. 선형큐 큐도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이다. 스택과 다른 점은 먼저 넣은 자료가 먼저 나오는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구조로구조로 저장하는 형식을 말한다. 큐는 put(enqueue)와 get..

Interrrupt
'ETC'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