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ograming/C#

반응형
Programing/C#

LINQ 메서드 정리 및 사용법

안녕하세요 인터럽트입니다.C# 개발 시에 LINQ 자주 사용하시나요?저는 자주 사용하는 메서드들만 익숙하게 사용하고 나머지는 기억도 하지 못하는 제 자신을 위해서이번 기회에 LINQ메서드들 정리해서 필요시에 찾아보기 위해 포스팅을 작성하려고 합니다.1. 필터링(Filtering)Where컬렉션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만 선택var numbers = new List {1, 2, 3, 4, 5};var evenNumbers = numbers.Where(w => w % 2 == 0);//결과 : {2, 4} FindAll (List 전용)List에서만 사용가능하며, Where와 동일한 기능 수행 Distinct컬렉션에서 중복을 제거한다.var numbers = new List { 1, 2, 2, 3, 3..

Programing/C#

[C#]Delegate의 종류(Action, Func, Predicate)

안녕하세요 인터럽트입니다.저번 포스팅에서는 delegate의 정의 및 기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여기까지만 해도 충분한 거 아니야?라고 생각하시겠지만 아직 한 단계 더 남았는데요이번 글에서는 .NET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delegate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1. ActionAction은 반환값이 없는 delegate입니다. 간단한 작업을 실행하거나 이벤트 처리에 자주 사용됩니다.단 Action은 최대 16개의 매개변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정의public delegate void Action(T obj);//예제using System;class Program{ static void PrintMessage(string message) { Console.Writ..

Programing/C#

[C#] Delegate(델리게이트) 완벽정리

안녕하세요 인터럽트입니다.여러분들은 Delegate에 대해서 아시나요?정확한 개념은 모르지만 업무 중에 사용하고 있는 나 자신을 보면서 자괴감이 들었어요이번 기회에 정확한 개념을 정리하려고 합니다.Delegate란?메서드에 대한 참조를 캡슐화 하는 형식이다.C/C++의 함수 포인터와 비슷한 개념이지만 C# 델리게이트는 타입안전을 보장한다.델리게이트는 특정 시점에 실행될 메서드를 동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특징타입안정을 제공한다.메서드의 매개변수 및 반환형이 델리게이트와 일치해야 한다.여러 메서드를 하나의 델리게이트에 연결할 수 있다.델리게이트를 사용하는 이유동적 메서드 호출어떤 메서드가 실행될지 컴파일 시점에서 알 수 없을 때 런타임에 메서드를 동적으로 연결하여 호출할 수 있다.코드 재사용 및 유연성 증가..

Programing/C#

해시테이블(Hashtable) VS 딕셔너리(Dictionary) 구분

안녕하세요 인터럽트입니다. C#에서는 (Key, Value)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가  2가지 존재합니다.해시테이블(Hashtable)과 딕셔너리(Dictionary)인데요이 둘은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둘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해시테이블(Hashtable)이란?Non-Generic : 모든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Object 타입 : 키와 값 모두 Object 타입으로 저장된다.박싱/언박싱 : 값 타입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검색할 때 박싱과 언박싱이 발생한다.Hashtable hashtable = new Hashtable();hashtable.Add("key1", 100);hashtable.Add("key2", "..

Programing/C#

LINQ : SKIP & TAKE 기능 정리, 페이징 처리할 때 유용한 기능

안녕하세요 인터럽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에서 정말 유용한 기능인 LINQ안에서도 SKIP & TAKE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응용방법에 대해서 적어보려고 합니다. 개념정리 SKIP메서드 SKIP메서드는 데이터 컬렉션에서 처음 몇 개의 요소를 건너뛰고 나머지 요소를 반환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데이터의 특정 부분을 제외하고 싶을 때 유용하고 예를들어 페이징 된 데이터를 처리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사용방법 var result = collections.skip(3); 위의 코드는 collections객체에서 처음 3개의 요소를 건너뛰고 나머지 요소를 반환합니다. 물론 skip메서드는 collection뿐만 아니라 배열, ArrayList, List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TAKE메서..

Programing/C#

정적멤버 vs 비정적멤버 개념정리

안녕하세요 인터럽트입니다. 이번에는 개발하면서 정말 많이 듣지만 초급일때는 그 개념을 이해하는데 쉽지않았던 정적 / 비정적 멤버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static을 사용해서 정적멤버를 사용할 수 있다는건 알고있었지만 정적멤버가 왜 필요한지, 어떨때 사용하는것인지 몰랐었는데 이번에 공부하면서 다시 이해를 하고 정리했습니다. 그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볼까요?? 개념 비정적멤버란?(Instance멤버)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속하는 멤버를 의미합니다. 비정적 멤버는 클래스를 사용하는 각 인스턴스마다 독릭적으로 존재하며, 주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를 표현하고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정적멤버란?(static멤버) 정적멤버란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아닌 클래스 자체에 속하는 멤버들을 말합니다. 정적..

Interrrupt
'Programing/C#'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