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컬러스크립터이다.
코드펜과는 다르게 작성한 코드만 볼 수 있는 IDE라기보다는 이쁜 NotePad정도?이다.
주로 결과화면을 보여주지 않아도되는 코드를 블로그에 첨부할때 많이 사용하고있다.
사이트 접속
https://colorscripter.com/
컬러스크립트 사이트로 접속한다.

컬러스크립트 default 화면이다.

스타일 패키지에서 DashBoard의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다.
눈의 보호를 위해 또는 명확한 영역 구분을 위해 “서브라임 블랙” 스타일을 주로 사용하고있다.

언어에서 DashBoard에 작성할 코드의 언어를선택 할 수 있다.
컬러스크립트 티스토리 적용
작성한 코드를 티스토리에 적용시키는 방법은
우측하단의 HTML로 복사를 클릭하면 작성한 코드가 HTML로 추출이 된다.

전체복사해서 코드펜과 마찬가지로 Tistory 글작성의 모드를 기본모드에서 HTML 모드로
바꾼뒤 복사한 html코드를 원하는 위치에 붙여넣기한다.
그뒤에 다시 기본모드로 돌아오면 color script에서 작성한 코드가
이쁘게 들어가 있는걸 확인 할 수 있다.

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컬러스크립터이다.
코드펜과는 다르게 작성한 코드만 볼 수 있는 IDE라기보다는 이쁜 NotePad정도?이다.
주로 결과화면을 보여주지 않아도되는 코드를 블로그에 첨부할때 많이 사용하고있다.
사이트 접속
https://colorscripter.com/
컬러스크립트 사이트로 접속한다.

컬러스크립트 default 화면이다.

스타일 패키지에서 DashBoard의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다.
눈의 보호를 위해 또는 명확한 영역 구분을 위해 “서브라임 블랙” 스타일을 주로 사용하고있다.

언어에서 DashBoard에 작성할 코드의 언어를선택 할 수 있다.
컬러스크립트 티스토리 적용
작성한 코드를 티스토리에 적용시키는 방법은
우측하단의 HTML로 복사를 클릭하면 작성한 코드가 HTML로 추출이 된다.

전체복사해서 코드펜과 마찬가지로 Tistory 글작성의 모드를 기본모드에서 HTML 모드로
바꾼뒤 복사한 html코드를 원하는 위치에 붙여넣기한다.
그뒤에 다시 기본모드로 돌아오면 color script에서 작성한 코드가
이쁘게 들어가 있는걸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