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터럽트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변수, 객체, 클래스등의 Naming 규칙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C#에서 사용하는 코딩 스타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번 내용은 권장사항이지만 되도록 많은 사람들이 지킬수록 가독성과 유지보수 성이 올라가겠죠? Bracing 스타일 블록 안에 단 하나의 문장만 있더라도 반드시 Brace를 붙이는 스타일입니다. 예를 들어 if() 문 뒤에 한 라인의 문장만 있더라도 이를 Brace안에 넣습니다. 이는 차후에 문장을 추가할 때 쉽게 추가할 수 있고 블록을 명확히 구분하는 역할을 해서 코드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ex)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good if ..
안녕하세요 인터럽트입니다. 오늘은 누군가에게는 너무 쉬워서 뭘 이런 걸로 글을써? 라는 생각이 들겠지만 저에게는 헷갈렸던 개념인 const / readonly의 역할과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각 키워드 역할 1. const const는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며, 선언 시 초기화를 통해 값을 할당하며, 이후 변경할 수 없는 불변의 값으로 사용됩니다. ‘const’ 변수는 컴파일 시 값을 결정하며, 클래스의 인스턴스 또는 정적 멤버 내에서 선언될 수 있습니다. 1 2 3 4 class Circle { const double Pi = 3.141592653589793; }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2. readonly readonly 키워드는 읽기 전용 필드를 선언할 때..
안녕하세요 인터럽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에서 형변환 하는 법과 각 방법들의 특징들을 비교해서 정리하겠습니다. 형변환 정리 Cast/as/is 비교 형변환정리 형변환이란 변수나 데이터의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데이터를 추리하거나 계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자료형 간에 형변환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형태로 변환하거나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형변환에는 암시적 형변환(Implicit Casting)과 명시적 형변환(Explicit Casting)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암시적 형변환 (Implicit Casting) 언어가 자동으로 형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정수와 실수를 연산할 때 몇몇 언어는 자동으로 ..
이번 포스팅에서는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생성자 함수 & 인스턴스 생성자 함수는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해서 객체를 생성하여 반환하는 함수를 말합니다. 주로 비슷한 성질을 가진 여러 개의 객체를 만들기 위해 미리 짜여진 거푸집 같은 거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 겁니다. 생성자함수를 사용해서 나온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function animal(tribe, color){ this.tribe = tribe; this.color = color; this.info = function(){ console.log('This is ${this.color} ${this.tribe}'); }; } const radrebbit ..
var, let, const 정리 JavaScript에서 변수 선언을 하기 위한 3가지 방법이 있다(var, let, const) 이번 글에서는 위의 세가지들의 차이점을 정리해 보겠다. var let const 중복선언 O X X 재할당 O O X 스코프 function-level Block-level Block-level 호이스팅 O O O 전역객체 프로퍼티 O X X 중복선언 var는 중복선언이 가능하며, 마지막에 선언한 변수의 값이 할당된다. let, const는 중복선언 시 문법에러가 발생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var var v = 5; console.log(v); //output : 5 var v = 10; console.log(v); //output : 10 //..
falsy란 실제값이 false가 아니지만 false로 평가되는 값들을 값이라고 한다. 조건문에서는 조건식이 false일 때 실행되지 않고 다음으로 넘어가는데 아래에 나열한 값들도 false 처럼 평가가 되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해야한다. -0 -undefined -null -" " (빈문자열) -NaN 주의! 빈 배열과, 빈 객체는 falsy 값이 아니다!!! truthy란 실제값이 true가 아니지만 true로 평가되는 값들이다. 간단하다... 위의 falsy를 제외한 모든 값들이 truthy 값이다.